부자가 되려면 꼭 알아야 하는
신이 내린 계좌
우리들의 텍스 쉘터
TFSA
Tax-Free Saving Account
이 계좌를 은행에서 신청하고 CRA동의를 얻어야만 마지막에 오픈이 된다.
한도가 지정되어 있는 이 계좌에 돈을 넣고
저축계좌로 만들어 이자가 생기거나,
주식을 해서 차액이 생기거나,
펀드를 사서 차액을 실현할때
캐피탈 게인에 대해서 세금을 내지 않는다.
CRA에 리포트 할 필요가 없다.
아주 어메이징한 혜택 아닌가???

매년 5000~6000$의 한도가 있으며
축적이 되는 특징이 있다.
18세 이상 세금 보고를 하면, 매년 한도가 쌓이기 시작한다.
이민자의 경우,
원칙적으로 첫번째 세금 보고를 했을 당시부터 TSFA 한도가 생성되기 시작한다.
캐나다에서 절세혜택을 최대한으로 볼수 있는 계좌 시스템이니 꼭 사용하자.
캐나다인 중에 이 계좌가 존재하는것을 아는 사람은 많으나,
이용하는 사람은 12% 밖에 안되고
이 중에서도 1%정도의 사람들이 야무지개 이용한다고 한다.
내가 아는 선에서는 이 계좌는 캐나다에만 유일하게 있는 계좌로
캐나다인의 저축을 증진하기 위해 만들어진 시스템이다.

TFSA 계좌에 대해 더 자세히 들여다 보자

1. 증권사 계좌를 TFSA로 열었다면?
TFSA로 캐나다주식과 미국주식을 살 수 있다.
대부분의 은행과 Questrade, worthsimple에서 오픈할 수 있다.
(은행은 거래 수수료가 좀 높은편)
유일하게 나가는 세금이라면,
USA 주식을 살 경우에는 배당금에 대해서 15% 세금을 물린다. (미국에서)
캐나다영주권이나 시민권이 아닌 사람이라면 30% 세금을 땐다 (미국에서)
그 외에는 TFSA 계좌에서 생긴 소득에 대해서
아무런 세금이 나가지 않는다.
베뤼굿👍
worthsimple 은 아주 간단하게 폰으로 오픈 가능하다.
거래 수수료가 0달러라는!!! 아래 클릭
Sign up for Wealthsimple and get 2x the reward.
my.wealthsimple.com
Questrade는 오픈하는게 꽤나... 뭐가 많다.
이전 포스팅을 참고
[주식계좌] Step 2. Qeustrade에서 계좌 오픈 in 캐나다 (feat. TSFA와 RRSP 계좌시스템)-1
나의 조건은 현재 옵션거래를 하지 않고 주식이나 ETF만 거래할 예정이며, 미국달러 계좌가 있어서 미달러를 보관할수 있어야 한다. 미달러 환전시 환전수수료를 절약할수 있어야 한다. 이 조건
thunder-julia.tistory.com
2. 수혜자와 승계자를 지정하자
👌 수혜자👌
말 그대로 내가 승천했을 때, 이 계좌의 돈을 받을 사람이다.
출금을 하고 계좌가 닫히면서 수혜자에게 돌아간다.
배우자, 부모님, 자식 누구나 지정가능하다.
🤞🏻승계인🤞🏻
썩쎄써!!! 승계인이 무엇이냐?
승계인은 계좌를 통채로 물려받는 사람이다.
이는 법적으로 부부인 사람끼리만 가능한데,
한 쪽이 먼저 승천했을 경우,
다른 쪽이 이 계좌를 물려받아 운용하게 된다.
즉, TFSA 한도를 그대로 물려받게 된다.
이게 사람들이 대부분 놓치는 부분이다.
어떤일이 어떻게 생길지 모르니,
어짜피 지정할꺼 다 해두자.
4. 인출은 어떻게 하나?
인출은 언제나 할수 있다.
다만 올해 인출하는 금액은 내년에 다시 입금할수 있도록 풀어주기 때문에
연말에 인출하는 것이 하나의 전략이 될수 있다.
내년에 집을 살 계획이 있다면 올 연말까지 열심히 불려서
연말에 인출했다가,
내년에 집을 사는게 미뤄지거나 불투명해지면
인출한 만큼 재입금 가능하다.
인컴택스에 대한 혜택은 없는 대신,
RRSP보다 출입금이 자유로워서 좋다.
5. 한도를 늘리려면??
한도는 매년 5,000~6,000$씩 정부에서 공시하는대로 쌓인다.
즉 작년에 내가 안넣었다고 올해 못넣는게 아니고
플러스가 된다는 말이다.
다른 방법으로 한도를 늘리자면,
정부가 지정한 한도만큼 넣고
투자를 해서 불리면
그만큼 늘어난다.
2009년 TFSA 탄생 이래로
내 한도가 생성되었다면
현재는 $81500에 대한 투자수익의 절세가 가능한 것이다.
나의 룸은 CRA에서 확인 가능하다.
(2021:$6,000 , 2022: $6,000)
4. 여러개의 TSFA 계좌를 열수 있을까?
💕YES💕
내가 원하는 만큼 여러개의 계좌를 열 수 있다.
즉, 여러개의 목표를 가진 포트폴리오를 내가 만들고 관리 할수 있다는 예기다.
(나의 경우 2개의 계좌가 있다, 월쓰심플하나,퀘스트레이드하나)

어떻게 TSFA를 응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자
1. 저축통장으로만 이용하기엔 너무 아까운 TFSA
많은 사람들이 그저 High Interest Saving account
혹은 GIC(만기가 있는 저축통장)로 이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왜냐면 은행에서 열고
은행직원이 추천해 주는게 저것이다.
은행은 고객들의 돈을 장기로 디파짓해 놓을수록 유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저런 상품들을 추천하거나,
자신들에게 수수료를 챙길수 있는 펀드를 소개시켜준다.
(수수료를 따져보면 펀드도 신중해야 한다)
8만불의 저축통장의 이자에 붙는 세금이 얼마나 될까?
이자도 작은데 세금은 또 얼마나 작은가
이런 작은 혜택을 누리려고 이렇게 복잡하게 열어 재낀 통장이 아니다.
적어도 나스닥지수, 미국시장, 캐나다 시장, 펀드, ETF에 투자해야 혜택을 볼 수 있다.
2. 장기 투자용으로 생각하자
은퇴 계좌는 아니지만 은퇴를 생각하며 투자한다고 생각하자.
예로들어 시장에 투자하는 경우 복리의 힘이 크다.
그렇다는 것은 투자상품을 사고팔고를 하지 않아도 쭈~욱 복리로 상승하고
상승폭을 모두 내가 가져올수 있다는 점이다.
3. 집 사는데 사용할수 있을까?
YES
위에서도 한차례 말했지만,
집을 살 계획이 있다면 인출하는 것이 좋다.
(연말이면 더 좋다)
사실,
왠만한 월급 가지고 다운페이먼트를 모으기는 쉽지 않다.
월정액으로 일정하게 투자를 한다면,
내가 집을 살쯔음에는 두둑한 나의 뒷배가 되어있을 것이다.
일례로
지인분은 막 일을 시작했을때
노년의 신사분께
TSFA와 저축의 개념, 투자의 개념을 배웠다.
그리고
아끼고 아껴서
바로 월정액 투자를 시작했다
하늘은 돕는자를 돕는다 했던가,
코로나가 터지기 전년도 말에 집을 사기위해 돈을 TFSA에서 돈을 뺏고
하우스 보러다니는 와중에 코로나가 미친듯이 확산됬다.
그리고 코로나가 터졌고,
금리는 폭락하듯 내렷고,
집값도 내렸다.
어짜피 살꺼 그냥 사자 하여,
냅따 지르셨고
남은 금액은 다시 TFSA로 들어갔다. (해가 바뀌었으니)
물론 폭락장에서 많이 주우셨다.
그리고 주식도 반등을 시작하고, 집값도 반등
그 분은 지금도 말씀하신다.
TFSA가 아니었으면 불가능했을 것이다.
우리도 해보자!!!
🏡 TFSA로 집사기 🏡

⛳️ 주의 해야 할 포인트 ⛳️

1. 한도를 넘어갈 경우,
한도를 넘어간 금액의 1%를 벌금으로 매달 청구한다.
TSFA에 대해서 모르는 친구가 은행직원말 듣고 그냥 오픈하고 세금안낸다길래 룰루랄라 했단다.
근데 연말에 몇천불이 날라오더라.
알고보니 제대로 듣지 않고 세금안낸다는것만 기억한 것.
그리고 국세청은 매달 벌금을 날리는게 아니라 연말에 한번에 보낸다.
그러니 쌓인 금액이 얼마나 많겠는가.
예를 들어보자.
케빈이 본인 한도가 $50,000 계좌를 2021년 10월에 열고
통장에 $40,000을 입금했다.
급여를 자동계좌이체해 놓았고,
급여는 세후 한달 10,000불이다.
10월 10,000불이 들어왔고 총 $50,000이 되었다.
11월에 10,000불이 들어왔고 $60,000이 되었다.
(하루라도 넘긴 적이 있다면 벌금 대상: 11월 벌금 100$)
12월에 10,000이 들어왔고 $70,000이 되었다.
( 12월 벌금 200$)
1월에 10,000들어왔고 $80,000이 되었다. 한도는 6000불 늘었다.
(1월 벌금 240$)
이렇게 벌금이 쌓이 국세청은 늦게 공지를 보낼수록
벌금을 더 때릴수 있기 때문에
아주 느긋하다.
리밋을 넘었다면 바로 인출하자!
2. 주식 단타는 금지!
TFSA로 주식 단타를 치던 사람들이 적발된 적이 있다.
동부 어디쪽..
정말로...
소문으로 듣자면 이놈이 난 놈인것이
TFSA $5,000 한도일때
이것을 1M으로 만든 것이다.
CRA는 황당무계했지만,
이후로 비지니스용(단타주식거래는 데이트레이더에 해당) 인컴텍스로 과세!
데이트레이딩은 일이다. 매일 사고파는.
그래서 이런 결정을 내렸고
발견되는 모든 계좌는 한도도 잃고
세금도 내고 벌금도 맞고 3중고
3. 같은 해 인출한 만큼 입금할수 없다.
올해 인출하면 다음해에 한도가 재생성된다.
입금했다면 한도 초과로 인정되어 벌금이 나온다.
4. 이율이 높은 다른 빚이 있다면 그것부터 갚자!
암만 TFSA가 좋다 한들, 이율이 높은 빚이 있다면 무조건 그것부터 갚아야 한다.
어쨋거나 내 주머니에 마이너스 요소가 있는 것은 매우 좋지 않다.
근데 학자금대출이나, 모기지같은 이율이 낮은 빚이 있는 경우,
TFSA의 이율 혹은 이득이 더 좋다면 TFSA를 사용해도 좋다.
계산기를 잘 굴려볼 것.

포스팅이 도움이 되셨다면
광고 클릭 부탁드려요
소정의 광고비는
원고를 작성하는데 큰 힘이 됩니다 💕
'라이프 Of 라이프 > 캐나다 이민&정착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캐나다 여권 신청 ] 여권신청이 폭주 속, 나름의 여권 신청 전략 🤞🏻 (0) | 2022.06.03 |
---|---|
[캐나다 시민권 신청] Step 5. 시민권 선서식 (세레모니) 준비 (0) | 2022.05.26 |
[캐나다 시민권 신청] Step 4. 시티즌십 시험 & 결과 (0) | 2022.05.25 |
[캐나다 시민권 신청] Step 2. 서류 작성하기 (0) | 2020.11.05 |
[캐나다 시민권 신청] Step 3. 우편 도착 확인 (0) | 2020.11.05 |